왜 이슬람권 국가들중 대다수는 근본주의가 득세하고 존나 미개하고 야만스러운 놈들이 판을 치고 있을까?
단순히 이슬람이라는 종교자체가 모든 문제의 근본이자 원인이기 때문일까? 그것도 맞다고 봅니다.
중동권의 반서방주의는 18세기무렵부터 시작됩니다. 포르투갈, 러시아,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등의 나라에서는 거진 대부분의 중동국가들을 식민지로 삼았습니다.
당연히 그에 대한저항의식과 함께 독립투쟁의 근간으로 반서방주의를 내세우게 되었고
반서방주의를 내세우게 되니 서방의 모든것은 잘못된것이라는 논리가 만들어지고 자신들의 이슬람은 완벽하며 무조건 옳다는 근본주의로 돌아서게 됩니다.
즉 종교자체가 문제가 되었다기 보다는 식민지배를 당했다는 치욕을 극복하기 위해서저러한 정신상태가 이루어졌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 글을 보는 분들은 이슬람 문화권은 원래부터 미개한 근본주의자 새끼들이 아니었나? 하고 생각하겠지만...
늦기는 했지만 18세기 후반부터 중동권도 서방의 과학기술과 문화를 받아들이고 근대로 들어설 준비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무하마드 압둘같은 근대주의자들은 법학파의 절대적이고 근본주의적인 경전의 해석은 후진적인 것이며 이집트가 근대로 들어서는데 방해가 되니 개혁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같은 근본주의자들은 인도네시아등 이슬람권 각지에서 부흥하기 시작하면서 이슬람을 변화시키려 했지만 세계대전과 식민지배, 이스라엘 건국 러시아와 미국 등 서방세계의 침공등 여러 사건을 겪으면서 근대주의자들은 근본주의자들에게 밀려나게 됩니다.
서양문화를 받아들여 이슬람의 후진성을 극복하려했던 무슬림들의 의지를 꺾어 놓은건 역설적으로 서방세계였습니다.
이란의 마지막 군주였던 무하메드 레자는 근대주의자로서 서방문물을 받아들여 이란을 부국으로 일으켜 세우려 했습니다.
여성의 교육과 의료혜택이 보장되었고 수준높은 남녀평등을 이루었고, 오일쇼크로 인해서 경제성장까지 이룩하면서 탄탄대로를 달리고 있었죠.
하지만 오일쇼크로 인한 급격한 경제발전은 빈부격차로 이어져 서민들에게 불만을 가져왔고 이른바 서양식 교육을 받은 대학생들이 주도하여 폭동을 일으켰으며 중동전쟁으로 인해서 국민들의 감정이 반서방주의로 급격하게 돌아선 상태에서 친미주의자였던 무하메드 레자를 미국의 매국노라 생각한 국민들은 그를 축출하기에 이릅니다.
그리고는 팔레비 왕조의 대안으로서 모든법은 코란에서 나와야 한다고 주장한 '호메이니'를 지도자로 세우게 됩니다. 그후로 이란에서는 도둑질하면 손짜르고 동성애는 사형이고 간통해도 사형.. 이런 제도가 형성된거죠.
그나마 유일하게 근대화에 성공한 대표적 사례는 터키입니다. 오스만제국이 서방에 의해서 식민지배를 당할뻔 했지만 자력으로 독립에 성공하고 터키를 세우면서 식민지배라는 트라우마와 "반서방주의"라는 낙인에서 벗어날수 있었죠.
그와 동시에 터키독립전쟁의 최대공훈을 세운 국부인 무스파타케말 아르튀크는 근대주의자로서 터키를 근대화 시키면서 국가의 기틀을 다지는데 성공합니다.
이슬람율법인 샤리아를 금지시키고 여성의 교육과 참정권을 보장하고 복잡한 아랍문자를 금지시키고 알파벳을 받아들이면서 제정을 분리시킵니다.
심지어는 히잡의 착용을 금지시키기 위해서 "모든 창녀는 히잡을 착용해야 한다"고 법을 만들기에 이릅니다. 바꿔말하면 히잡을 쓰는 여자 = 창녀 라는 거죠.
화가난 이슬람 근본주의자 ㅋㅋ
이슬권 국가중에서 터키가 유일하게 중진국에 들어선 것만 보더라도 무스파타 케말의 결정이 옳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결론은 무슬림 새끼들이 스스로 개혁하지않는 이상은 답 없단 겁니다.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영어와 미국 영어의 차이 (0) | 2018.09.21 |
---|---|
연예인의 람보르기니를 훔친 16살짜리 학생 (0) | 2014.02.10 |
중국 밀수품 클라스 좀 보소;; (호랑이, 독수리, 곰발 등등..) (0) | 2014.01.23 |
미국의 '미' 자는 왜 아름다울 美 일까? (0) | 2014.01.05 |
세계에서 가장 더운 지역 Top 10 (0) | 2013.07.23 |